법률통역

우리나라 체류자격별 외국인 현황

Corea-Biz 2025. 4. 27. 09:00
반응형

우리나라 외국인 현황을 체류자격 기준으로 분석을 하려고 합니다. 외국인 범죄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먼저 체류자격별로 인구 집단을 구분해 각 그룹의 동기, 체류 기간, 사회·경제적 지위, 법적 지위 등이 어떻게 다른지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범죄 발생률을 왜곡 없이 계산하고, 정책 대응과 예방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1. 비자 유형이 경제적·사회적 지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범죄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2. 정확한 범죄율 계산을 위해서는 전체 외국인이 아닌 해당 비자 그룹을 분모로 사용해야 한다는 방법론적 제안
  3. 합법/불법 체류 여부에 따라 범죄 신고 및 수사 과정에서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지적
  4. 국제 연구 사례를 통한 체류자격별 분석의 필요성 강조
  5. 이런 세분화된 분석이 정책 및 자원 배분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

이러한 분석은 외국인 범죄에 대한 논의를 보다 과학적이고 세밀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25년 1월 통계월보를 기준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우리나라에 체류 중인 외국인의 규모와 구성은 급격히 변화해 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1월 말 기준, 체류 자격별 외국인 인원을 상세히 살펴보고, 그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해 보려 합니다.

전체 현황 요약     262만명
  • 전체 체류 외국인 수: 2,620,853명
    • 전월(2024년 12월) 대비 ‒1.1%
    • 전년 동월(2024년 1월) 대비 +7.0%
  • 장기 체류자(91일 초과)가 전체의 약 75%를 차지하며, 단기 방문자도 꾸준히 유지
  • 코로나19 이후 외국인 입국이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체류 자격별 주요 특징

체류 자격인원(‘25.1월)전월 대비전년 동월 대비특징 요약

재외동포(F-4) 557,935 +0.4% +3.5% 최대 규모, 안정적 증가세
비전문취업(E-9) 336,252 –0.3% +5.9% 제조·농림 등 단순 기능 인력 비중
영주권자(F-5) 204,979 +1.0% +9.8% 영구 거주 수요 강세
사증면제 방문(B-1) 186,763 –9.6% –7.4% 단기 무비자 방문 감소
단기방문(C-3) 177,930 +9.3% +10.1% 관광·비즈니스 등 단기간 체류자 증가
유학(D-2) 177,830 –0.4% +17.8% 해외 유학생 회복세 뚜렷
방문동거(F-1) 96,971 –2.1% –13.2% 가족 방문 감소
결혼이민(F-6) 148,997 +0.4% +4.3% 다문화 가정 안정세 유지
기타(상사·연구·예술 등) 나머지 소폭 변동 혼재 전문·특정 활동별 소규모 인력 분포
  • 최다 체류 자격은 재외동포(F-4)로 약 56만 명, 그다음 비전문취업(E-9)이 33만 명 수준
  • 전문 인력(E-1~E-7) 합산 약 80여 만 명으로, 고급 기술·학술 교류 인력도 견조

 

증가세가 뚜렷한 비자 유형

  • 계절근로(E-8): 전년 대비 82.7% 증가로 가장 높은 증가율 기록. 이는 농어촌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정책적 지원 확대를 반영합니다.
  • 동반(F-3): 전년 대비 74.9% 증가. 주로 다른 비자 소지자의 가족들이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특정활동(E-7): 전년 대비 39.0% 증가. 전문인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감소세가 뚜렷한 비자 유형

  • 관광통과(B-2): 전월 대비 16.9% 감소했으며, 이는 계절적 요인(겨울철 관광 감소)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 단기취업(C-4): 전월 대비 15.3% 감소. 단기 프로젝트 완료와 계절적 요인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계절근로(E-8): 전월 대비 13.4% 감소. 1월은 농번기가 아니어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주요 체류자격별 규모

  • 재외동포(F-4): 557,935명으로 전체 체류외국인의 약 21.3%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비전문취업(E-9): 336,252명으로 두 번째로 큰 그룹을 형성하며, 주로 제조업, 건설업, 농축산업 등에 종사합니다.
  • 사증면제(B-1): 186,763명으로 단기 방문자 중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체류자격별 특징

  • 장기체류 비자의 안정성: F-4(재외동포), F-5(영주), F-6(결혼이민) 등 장기체류 비자 소지자 수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소폭 증가 추세를 보입니다.
  • 단기체류 비자의 변동성: B-1(사증면제), B-2(관광통과), C-3(단기방문) 등 단기체류 비자는 계절적 요인과 국제 정세에 따라 변동성이 큽니다.
  • 노동력 관련 비자의 증가: E-7(특정활동), E-8(계절근로), E-9(비전문취업) 등 노동력 관련 비자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편으로, 한국의 노동력 부족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 전문인력과 단순노동력의 균형: 전문인력(E-1~E-7)과 단순노동력(E-9)이 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외국인력 수요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2025년 1월의 체류 외국인 통계는 단기 방문 회복과 전문·학업 목적 체류 확대라는 두 축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정책 담당자와 지자체는 이 흐름에 맞춰 비자 제도·지원 정책을 세분화하고, 민간 기업은 다문화·외국인 수요를 비즈니스 기회로 전환할 준비가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