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2025년 4월23일 (수)
"K셀러 된 울엄마, 年1억 번다" 역직구 쑥쑥
핵심키워드 역직구, K셀러, 한류붐, 글로벌 오픈마켓
오늘은 최근 국내 기업들의 새로운 수출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는 '역직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한류의 글로벌 확산과 함께 우리 제품에 대한 해외 수요가 늘어나면서, 역직구는 이제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역직구 (Reverse Cross-border Shopping)정의역직구는 ‘해외 소비자가 국내 온라인 쇼핑몰이나 오픈마켓에서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전자상거래 방식입니다.이는 국내 셀러가 제3의 현지 유통사 없이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배송함으로써, 마치 수출과 유사한 구조를 띱니다. 주요 특징
역직구 시작 가이드
|
글로벌 전자상거래 환경이 고도화됨에 따라, 국내 판매자가 해외 소비자를 직접 상대하는 역직구는 새로운 수출 채널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우리는 해외 쇼핑몰에서 직접 물건을 구매하는 '직구'에 익숙해져 있는데요. '역직구'는 이와 반대로 국내 판매자가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중간 유통 단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상품을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직접 선보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023년 기준 국내 역직구 시장은 약 7조 5천억 원 규모로, 전년 대비 28.5%나 성장했습니다. 올해 1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32.3%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죠. 이제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거대한 시장이 된 것입니다.
역직구의 발전과정
- 2010년 이전: 초기 해외 구매대행 서비스 중심
- 2010-2015년: 글로벌 마켓플레이스 입점을 통한 본격적인 역직구 시작
- 2015-2020년: 한류 확산에 따른 K-뷰티, K-패션 중심의 역직구 성장
- 2020년 이후: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 확대와 함께 역직구 규모 급증, 품목 다양화
역직구 시장, 어떤 제품이 인기일까요?
역직구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은 단연 K-뷰티 제품입니다. 전체 시장의 35.2%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인 비중을 보이고 있는데요. 이어서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18.7%), 패션 및 의류 제품(15.4%), 가전 및 IT 제품(12.8%), K-팝 관련 굿즈(8.5%) 순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K-팝,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와 연계된 제품들의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드라마 속 주인공이 사용한 화장품이나 의류, 아이돌 굿즈 등은 출시되자마자 해외에서 품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로벌 오픈마켓 (Global Open Marketplace)정의오픈마켓(Open Marketplace)은 플랫폼 사업자가 다수의 셀러에게 상품 등록·판매 공간을 개방하고, 거래·결제·물류·CS를 중개하는 전자상거래 모델입니다글로벌 오픈마켓은 이러한 개방형 구조를 전 세계 단위로 확장하여, 국경에 구애받지 않고 셀러와 바이어를 연결합니다. 주요 특징
주요 역직구 해외플랫폼1. 아마존(Amazon)
플랫폼 선택 시 고려사항
|
역직구, 어떤 어려움이 있을까?
역직구 시장에 진출하려면 몇 가지 도전과제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물류 및 배송 문제
국제 배송비용 상승, 배송 지연, 반품 처리의 어려움 등은 역직구 사업자들이 가장 흔하게 겪는 문제입니다. 현지 물류 파트너십 구축이나 해외 물류 센터 활용 등의 전략이 필요합니다.
결제 및 세무 이슈
국가별로 상이한 결제 시스템, 복잡한 세관 절차, 관세 문제 등도 큰 도전입니다. 전문 결제 대행사와의 협력이나 현지 세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과 고객 대응
언어 장벽으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문제와 24시간 고객 응대 시스템 구축도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최근에는 AI 기반 번역 및 고객 응대 시스템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
역직구 신뢰성의 중요성
해외 소비자들이 국내 판매자의 제품을 구매할 때 다음과 같은 불안 요소가 존재합니다:
- 제품의 진위 여부: 실제 광고된 제품과 동일한 품질의 상품이 배송될까?
- 배송 불확실성: 정말로 제품이 배송될까? 언제 받을 수 있을까?
- 애프터서비스 접근성: 문제 발생 시 해결이 가능할까?
- 개인정보 보호: 결제 정보와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될까?
- 반품 및 환불 절차: 제품에 문제가 있을 경우 쉽게 반품하고 환불받을 수 있을까?
이러한 불안 요소들이 해소되지 않으면 해외 소비자들은 구매를 망설이게 됩니다. 따라서 역직구 시장에서의 성공은 신뢰성 확보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역직구는 이제 단순한 판매 방식을 넘어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류의 힘과 K-제품에 대한 글로벌 인지도가 높아진 지금이 바로 역직구 시장에 도전할 최적의 시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국가별로 다른 소비자 특성, 복잡한 물류와 통관 문제, 언어 장벽 등 넘어야 할 산도 많지만, 철저한 준비와 전략적 접근으로 이러한 도전을 극복한다면 역직구는 우리 기업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할 것입니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면서 국내 판매자가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역직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 소비자들이 낯선 국가의 판매자로부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뢰'가 필수적입니다.
'신문으로 경제용어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지구(Super-Earth) (0) | 2025.04.25 |
---|---|
차세대 인터페이스 CLX D RAM (1) | 2025.04.24 |
산업지능 시대(Industrial Inteligence) (2) | 2025.04.22 |
우회수출 - 왜 트럼프는 이를 "부정행위"라고 하나? (1) | 2025.04.22 |
[관세] 트럼프 2기 행정부 America First와 관세 (2) | 2025.04.21 |